작성일
2021.10.06
수정일
2021.10.06
작성자
정대식
조회수
1958

[PNU 리서치] 박소영 교수, 명사구 생략과 한국어의 수분류사 연구 발표

"한국어의 수분류사는 명사구 생략을 인허하는 기능핵"




'박소영 교수, 명사구 생략과 한국어의 수분류사 연구 발표'게시물의 이미지 첨부파일, 상세내용은 아래 본문 참고


국어국문학과 박소영 교수
가 무관사(determiner-less) 언어인 한국어에도 명사구 생략(NP-ellipsis, 전통적으로 N’-ellipsis)이 존재한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다른 언어 대비, 한국어 명사구의 통사구조 및 그 내부 생략 기제를 밝혀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성(性)·수(數)·인칭과 같은 일치자질(agreement morphology)이 매우 발달돼 있는 인도-유럽어와는 달리, 한국어를 비롯한 동아시아 언어는 일치자질이 매우 빈약하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 언어로 알려져 왔다. 특히 명사구의 구조에 있어서도 인도-유럽어는 관사(determiner)가 다양하게 발달돼 있는 관사 언어에 해당하지만, 한국어는 이러한 관사가 없는 무관사 언어에 속한다. 


이번 연구 논문은 한국어에는 명사구 생략이 존재함을 주장한다. 특히 한국어를 비롯한 동아시아 언어에 형태론적으로 매우 발달돼 있는 수분류사는 명사구 생략을 인허할 수 있는 기능핵(functional head)으로서, 이는 음성형식부 삭제(PF-deletion)에 의한 생략 과정을 유도함을 통사론적으로 증명했다. 


‘철수는 논문 한 편을 읽었고, 영희는 두 편을 읽었다’라는 문장과 같이 수분류사(數分類詞, 명사의 수량을 표현하는 단위)가 쓰인 ‘두 편’ 다음에 영형(null form) 명사구 출현이 허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에 입각한다면, 한국어의 명사구는 인도-유럽어의 그것과 유사하게 여러 기능핵에 의해 정교하게 조직돼 있는 통사구조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이들 언어 간에 존재하는 변이는 주로 가시적, 혹은 비가시적인 형태론적 실현 방식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내에서와는 달리 국외에서의 명사구 생략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게 진행돼 왔다. 특히 명사구 생략을 인허하는 통사론적 기제는 무엇인지, 또한 성·수·인칭과 같은 일치자질의 형태론적 실현과 명사구 생략이 인허되는 통사론적 범위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깊이 논의돼 왔다. 


그 주된 논의의 초점은 명사구 생략 인허자는 형태론적으로 실현되는 강 일치자질(strong agreement morphology)인데, 일치자질의 형태론적 실현이 풍부할수록 명사구 생략이 인허되는 통사론적 범위가 더 넓어진다는 것이다.


한국어를 비롯한 동아시아 언어는 성·수·인칭 등의 일치자질이 빈약하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무관사 언어이다. 따라서 서구어에 비해 이들 언어에서는 명사구 생략이 인허되는 환경이 매우 제약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동아시아 언어 중, 중국어나 일본어에서의 명사구 생략에 대한 논의는 한국어에서보다 폭넓게 진행돼 왔다.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이들 언어는 셈 연산(counting computation)에 있어 분류사를 요구하는 분류사 언어(classifier language)에 속한다. 이로 인해 동아시아 언어의 명사구 생략에 대한 논의는 수분류사의 통사론적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 깊은 연관을 맺으면서 이루어져 왔다.



<명사구 내부구조 및 명사구 생략 기제>

* 상단: 중국어, 일본어 명사구, 각각 기능핵 D, Cl에 의해 명사구 생략이 일어남.

* 중간: 한국어 명사구, 기능핵 Cl가 명사구 생략 인허. 직접 지배하지 않는 경우 대용 전략 적용

* 하단: 내부논항 적출 이동, Cl에 의해 잔여성분 명사구 생략 적용


박소영 교수는 한국어는 명사구 생략이 존재하는 언어이며, 이는 기능핵에 해당하는 수분류사에 의해 이루어짐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이 논문은 한국어 수분류사 구문에 나타나는 영형 명사구를 분석하기 위한 여러 공범주(null categories)를 이용한 대안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가령 수분류사 구문의 영형 명사구는 통사론적 공범주의 하나인 영형 대명사 pro로는 분석될 수 없는데, 이는 여러 다양한 통사 환경에서 pro와는 다른 의미 해석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또한 영형 대용어(pro-form)로도 분석될 수 없는데, 이는 내부논항(internal argument)의 적출 가능성을 비롯한 여러 통사론적 증거에 의해 증명된다. 그리하여 수분류사 구문의 영형 명사구는 음성형식 삭제에 의한 명사구 생략으로 가장 자연스럽게 설명될 수 있다.


박소영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한국어를 비롯한 동아시아 언어의 명사구 내부 구조 및 수분류사의 통사구조, 그리고 생략의 통사 이론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척되기를 기대한다”며 “이를 기반으로 인간 언어의 보편성 및 한국어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됐으며, 그루이터(Berlin, Boston: De Gruyter Mouton)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A&HCI 저널인 『링귀스틱스(Linguistics)』 온라인 5월 5일자(59-3호 출판, pp. 635-681)에 단독저자로 게재됐다.


- 논문 제목: NP-ellipsis and numeral classifiers in Korean(한국어의 명사구 생략과 수분류사)

- 논문 링크https://doi.org/10.1515/ling-2021-0065 (DOI: 10.1515)


* 사진: 『링귀스틱스(Linguistics)』 저널 표지와 박소영 교수



[Abstract]


NP-ellipsis and Numeral Classifiers in Korean


The syntactic status of numeral classifiers with respect to NP-ellipsis in classifier languages has been a controversial subject in many recent discussions. Addressing this issue, this article argues that Korean numeral classifiers can serve as functional heads that license NP-ellipsis via PF-deletion. 

First, a null NP appearing in a Korean numeral classifier context cannot be a pro. In contrast to the visible counterpart of a pro ? kukes ‘it’ ? such a null NP yields an interpretation that only refers to an antecedent NP when a possessor argument is stacked with the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 The argument ellipsis analysis coupled with numeral classifier floating is also verified to be unsustainable, considering the parallelism condition on ellipsis. Finally, it cannot be identified with a null NP pro-form, either. Unlike the NP pro-form kes ‘one’, a null NP in the numeral classifier context allows the extraction of an internal argument, which is plausibly predicted only by the PF-deletion approach to ellipsis, and it exhibits distributions incompatible with kes.

Further evidence in support of this claim came from the asymmetry in the NP-ellipsis of uy-marked numeral classifiers, which diverges contingent upon the ambiguous interpretations, such as quantity or property readings ? a uy-marked numeral classifier with a quantity reading enforces NP-ellipsis, parallel to its uy-less counterpart that obligatorily yields a quantity reading only, whereas one with a property reading must involve kes-pronominalization. Such a clear contrast further reinforces the major claim of this article that Korean numeral classifiers are able to license NP-ellipsis and it also offers a novel insight into the dual source analysis of uy-marked numeral classifiers, which has not been noted in previous literature.

A bare numeral without the support of a classifier also served as another piece of confirming evidence by exhibiting a distribution incompatible with the NP pro-form kes, in particular when it occurs in a position directly adjacent to its head noun. Such a phenomenon could fall into place only under the analysis the article espoused: a numeral in a classifier language, which presupposes the participation of a null classifier in counting, ensures licensing NP-ellipsis, thereby excluding the use of the NP pro-form kes in the context. If these discussions are on the right track, we are led to the conclusion that Korean is a language that allows NP-ellipsis, which is licensed by a numeral classifier.

A couple of research questions still remain to be resolved. The first question concerns why it is the case that Cl is a licensing head for NP-ellipsis, but D, which has widely been known as a NP-ellipsis licensor across languages, is not in Korean (given that the Korean genitive case is licensed by D). The second question regards the issue of whether there can be any other functional heads to license NP-ellipsis in Korean. These research questions closely correlate with the issue of which functional heads are involved in the nominal structure of a particular language. Furthermore, a thorough exploration as to why any of the functional heads acquire an ellipsis-licensing ability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fully answer these questions. More in-depth discussions on cross-linguistic variations with respect to NP-ellipsis will require more research, which I leave to a future study.


* Author: So-Young Park(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2021.9.2.)

 

기사원문 : https://www.pusan.ac.kr/kor/CMS/Board/Board.do?mCode=MN270&&mode=view&board_seq=1469153&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